지난 프로젝트에서 WebView를 사용한 적이 있었다.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WebView에 대해서 더욱 깊게 공부하고, 배워서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한번 사용해보자. @SuppressLint("SetJavaScriptEnabled") override fun onViewCreated(view: View, 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ViewCreated(view, savedInstanceState) viewModel.bind(url) webView.settings.apply { this.setSupportMultipleWindows(false) // 새창 띄우기 허용 th..
WebSocket이란지난번 포스팅으로 대체하겠다.https://superohinsung.tistory.com/352 [Web] WebScoket이란 무엇인가WebSocket이란WebSocket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양방향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일반적인 Http 요청과 달리, WebSocket은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즉superohinsung.tistory.com Android Project에서 채팅 기능 구현기 + Clean Architecture + Hilt졸업작품에서 채팅기능을 구현해야하는 일이 있었다.실시간 채팅기능이었다.아래 코드와 함께 풀이를 한번 적어보겠다. 프로젝트는 우선적으로 클린아키텍처 기반의 Hilt를 사용한 의존성주입을 사용하였다..
지난 프로젝트에서 Github Actions CI/CD를 사용한 적이 있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사용했던 Github Actions CI/CD 코드를 분석하고, CI/CD가 무엇인지 또한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부해보자. CI/CD란 무엇인가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 또는 Continuous Deployment)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CI는 코드 변경사항을 주기적으로 빌드하고 테스트하여 메인 저장소에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CD는 CI 과정을 통과한 코드를 자동으로 배포하는 단계로, Delivery는 승인을 통해 배포되고, Deployment는 자동으로 배포된다. CI/CD의 이점개발 과정의 ..
지난 날 ConstarintLayout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정리를 한 적이 있었다.https://superohinsung.tistory.com/231 [Android] ConstraintLayout 이란ConstraintLayout이란 ConstraintLayout은 부모 뷰그룹 안의 다른 요소들과의 상대적인 제약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화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레이아웃을 말합니다. 기존의 레이아웃(Linear, Relative 등등)에 비superohinsung.tistory.com 그렇다면 오늘 ConstraintLayout의 장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장 큰 장점으로는 뷰의 깊이(depth)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른 2가지의 장점이 다시 따라온다. 성능 최적화예를 들어, 위와 같은 계산기 UI를 구현하..
LayoutManager이란RecyclerView의 LayoutManager는 RecyclerView의 아이템을 배치하고 스크롤 동작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LayoutManager를 사용하면 다양한 레이아웃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Android에서 주로 사용되는 LayoutManager는 세 가지가 있다. LinearLayoutManager아이템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일렬로 배치한다.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되며, 메서드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직(세로) recyclerView.apply { layoutManager = LinearLayoutManager(context) }기본적으로 우리가 항상 보던 리사이클러뷰를 생..
블로그에 지난 졸업프로젝트에서 했던 주요 기능부분을 기록으로 남기려고한다.조금?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기억을 되살려서 기록을 해보자. 졸업 프로젝트에서는 다른 여타 프로젝트와 달리 RecyclerView에 대해서 사용할 일이 많았다.그렇다면 RecyclerView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 onCreateViewHolder와 onBindViewHolder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onCreateViewHolder와 onBindViewHolderclass CommentAdapter( private val onClickMenu: (CommentItemUiState) -> Unit) : ListAdapter(diffCallback) {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
Android DIP이란?dp(or dip)는 Density-independernt Pixels의 줄임말로 같은 면적에 포함되어 있는 물리적인 픽셀의 밀도로부터 독립적인 크기를 가진 픽셀 단위이다.그렇다면 픽셀은 무엇일까?화소라고도 하며, 디지털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최소 단위이다.픽셀은 해상도와도 관련이 있는데, 동일한 이미지라 하더라도 픽셀의 수가 많은 것이 해상도가 더 높다. 즉, 아래와 같은 그림이 있을 때 왼쪽보다는 오른쪽이 해상도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위가 필요한 이유는 비슷한 크기의 스마트폰이더라도 해상도가 다르면 물리적인 픽셀 수도 다르기 때문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픽셀 단위로 button/폰트를 구성하면 화면의 픽셀 수가 많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보..
RecyclerView with multiple item types in Kotlin이란?개발을 하다보면 여러 개의 Recycler View를 만들게 되어 프로젝트 구조가 복잡해지기 마련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Recycler View에 여러 타입의 뷰를 띄워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네이버 카페 어플에서 글을 본다고 할 때, 사진+제목, 제목, 광고와 같은 타입으로 아이템이 나눠질 수 있다. 하나의 View에는 하나의 DataItem밖에 들어가야하지 않을까?나도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하였지만 공부를 하면서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Sealed Class를 활용해서 ViewHolder와 Item 묶어내는 방법"으로 Mutip..